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제주 노형 맛집 대궁숯불갈비 생갈비
제주도의 번화가 중 하나인 노형동은 제주공항에서 멀지 않은 거리에 있으며 여행객이 많이 찾는 숙소인 그랜드하얏트 제주 호텔이 있으며 주변으로는 다양한 음식점과 베이커리 카페가 곳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최근 가입한 모임을 통해 생갈비를 먹으러 갔던 대궁 숯불갈비는 오랜 시간 제주항에서 가까운 사라봉 근처에서 운영했던 숯불구이 전문점으로 최근 노형 지역에도 새롭게 오픈했다.
이곳에서는 400g 기준 생갈비를 22,000원에 먹을 수 있으며 양념갈비는 400g 기준 20,000원으로 가성비가 좋아 인근에 거주하는 제주 현지인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며 외식, 회식 장소로 입소문이 났다.
숯불의 화력으로 빠르게 맛볼 수 있는 생갈비는 고기 회전률이 좋은 만큼 맛이 좋았고 밑반찬으로 나온 우뭇가사리가 별미이며, 셀프코너를 통해 쌈과 반찬을 편하게 먹을 수 있기에 제주 노형 맛집을 찾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대궁숯불갈비는 제주공항에서 차로 약 10분 거리인 제주시 노형동에 위치해 있으며, 운영시간은 매일 오후 4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그랜드하얏트 제주 호텔에서는 도보로 약 5분이면 갈 수 있으며, 식당에서 가까운 노형초등학교 뒤쪽에 노형정존공영주차장이 있어 차를 타고 간다면 미리 참고해보자.
양념갈비, 생갈비 포장도 할 수 있어 제주시 노형동, 연동 지역에 머무르는 분들이 식사 메뉴로 선택하기 좋은 대궁 숯불갈비는 키즈존으로 유아용 식탁의자가 구비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갈 수 있는 키즈존 식당이다.
제주 노형 맛집 대궁 숯불갈비 내부는 전체적으로 깔끔한 공간에 단체 모임이나 회식으로 가기 좋을 만큼 넓었으며 에어컨도 여러 대 설치가 되어 여름철에도 가기 좋은 곳이라 할 수 있었다.
저녁 7시 넘어 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대궁숯불갈비에 방문했을 때는 가족 외식으로 생갈비를 먹기 위해 찾아온 제주 현지인 분들로 붐볐으나 내부 공간이 넓은 만큼 타인의 방해 없이 편하게 저녁을 먹을 수 있었다.
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대궁숯불갈비에서는 메인메뉴로 양념갈비, 생갈비 두 가지만 있으며 가격은 위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다른 제주 노형 맛집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저렴하여 부담없는 금액으로 푸짐하게 고기를 먹을 수 있다.
사이드메뉴로는 된장찌개, 계란찜, 비빔냉면, 물냉면이 있으며 소주, 맥주 외에 제주 쌀막걸리와 최근 출시한 한라산 막걸리도 주문해서 곁들일 수 있다.
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대궁숯불갈비에 모임으로 갔던 날에는 200g 기준 가격 2만 2천 원인 생갈비를 주문했다. 메뉴를 주문하면 직원 분이 여러 밑반찬을 가져다주시는데 파절이부터 김치, 콩나물, 무채가 나왔고 고기와 함께 불판에 구워 쌈과 함께 먹을 수 있다.
모자란 반찬은 식당 내부 안쪽에 있는 셀프코너에서 직접 가져다가 먹을 수 있으며 생갈비 자체도 두툼하면서 겉으로 보기에도 신선함을 자랑했다.
여러 명이 함께 가서 1인 400g씩만 주문하더라도 푸짐하게 생갈비를 먹을 수 있는데 숯불인데도 타지 않게 잘 구워져서 제대로 된 고기를 맛볼 수 있었다.
이날 제주 노형 맛집에 갔을 때는 고기를 잘 굽는 지인 분과 함께 가서 편하게 먹을 수 있었는데, 먹으면 먹을수록 쫄깃한 식감이 좋아 오랜만에 배부른 식사를 할 수 있었고 반찬으로 나온 우뭇가사리는 꼭 먹어봐야 하는 요리다.
제주도 맛집 현지인 추천 대궁숯불갈비는 연중무휴로 오후 4시부터 오픈하고 있어 제주도에 머물거나 여행을 간다면 언제든 갈 수 있고 제주공항에서 거리가 가까운 노형 지역에 있으니 현지인이 많이 찾는 음식점을 찾는다면 참고해서 방문해보면 좋겠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카페 추천 제주공항 근처 콜로세움 강아지 애견동반 (0) | 2025.04.08 |
---|---|
제주 렌트카 가격비교사이트 제주속으로 렌트카 유레카 단독사고 (0) | 2025.04.08 |
제주 연동 카페 컴플리트커피 아르크 벚꽃 풍경 (1) | 2025.03.29 |
제주도 기념품샵 제주 소품샵 추천 서귀포 중문 만달 (2) | 2025.03.21 |
제주 고기국수 맛집 애월 주라기 가마솥 순대국 창도름국밥 (1) | 2025.03.20 |